Effective Kotlin_아이템3. 최대한 플랫폼 타입을 사용하지 말라
1장. 안정성 - 아이템3. 최대한 플랫폼 타입을 사용하지 말라
TIL (Today I Learned)
상태를 정의할 때 변수와 프로퍼티의 스코프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오늘 읽은 범위
- 1부. 좋은 코드
- 1장. 안정성
- 아이템3. 최대한 플랫폼 타입을 사용하지 말라
- 1장. 안정성
Content
null-safety 매커니즘이 없는 언어와 코틀린의 결합
null-safety 매커니즘이 없는 자바,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코틀린을 연결해서 사용할 때는 NPE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자바에서 String 타입을 리턴하는 메서드가 있다고 했을 때
@Nullable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면 nullable로 추정 ->String?
으로 변경@NotNull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면 ->String
으로 변경- 아무 어노테이션이 붙지 않았다면
- 최대한 안전하게 접근한다면 -> nullable로 가정
null
을 리턴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면 -> not-null 단정을 나타내는!!
을 붙인다
문제점
nullable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은 자바의 제네릭 타입이다.
자바 API에서 List<User>
를 리턴하고 어노테이션이 따로 붙지 않은 경우, 코틀린이 디폴트로 모든 타입을 nullable로 다룬다면 우리는 이를 사용할 때 이러한 리스트와 리스트 내부의 User
객체들이 null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리스트 자체만 null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부에 있는 것들도 null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null을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 자바
public class UserRepo {
public List<User> getUsers() {
// ...
}
}
// 코틀린
val users: List<User> = UserRepo().users!!.filterNotNull()
만약 List<List<User>>
를 리턴한다면 훨씬 복잡해질 것이다.
val users: List<List<User>> = UserRepo().groupedUsers!!.map { it!!.filterNotNull() }
List는 적어도 map
과 filterNotNull
등의 메서드를 제공하지, 다른 제네릭 타입이라면 null을 확인하는 것 자체가 정말 복잡한 일이 된다.
그래서 코틀린은 자바 등의 다른 프로그램이 언어에서 넘어온 타입들을 특수하게 다룬다. 이러한 타입을 플랫폼 타입이라고 부른다.
플랫폼 타입
플랫폼 타입이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전달되어서 nullable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타입을 말한다.
플랫폼 타입은 String!
처럼 타입 이름 뒤에 !
기호를 붙여서 표기한다. 물론 이러한 어노테이션이 직접적으로 코드에 나타나지는 않는다.
// 자바
public class UserRepo {
public User getUsers() {
// ...
}
}
// 코틀린
val repo = UserRepo()
val user1 = repo.user // user1의 타입은 User!
val user2: User = repo.user // user2의 타입은 User
val user3: User? = repo.user // user3의 타입은 User?
코틀린에서 플랫폼 타입을 지원하므로 다음 코드와 같이 내부까지 null 체크를 하는 복잡한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플랫폼 타입 예제
val users = UserRepo().users
val users = UserRepo().groupedUsers
하지만 null일 가능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여전히 플랫폼 타입을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자바 코드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면 가능한 @Nullable
과 @NotNul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자.
NPE(Null Point Exception)의 발생
// 자바
public class JavaClass {
public String getValue() {
return null;
}
}
// 코틀린
fun statedType() {
val value: String = JavaClass().value // NPE
// ...
println(value.length)
}
fun platformType() {
val value = JavaClass.value
// ...
println(value.length) // NPE
}
자바로 쓰여진 JavaClass
라는 클래스의 value
를 사용하는 코틀린 코드인데 둘 다 NPE가 발생한다. 하지만 NPE가 발생하는 위치가 다르다.
statedType 에서는 자바에서 값을 가져오는 위치에서 NPE가 발생한다. 이는 코드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platformType에서는 값을 활용할 때 NPE가 발생한다. 플랫폼 타입으로 지정된 변수는 nullable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변수를 한두 번 안전하게 사용했더라도 이후에 다른 사람이 사용할 때는 NPE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런 문제는 타입 검사기에서 검출해 줄 수 없다. 그렇기에 오류를 찾는데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다.
정리
-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와서 nullable 여부를 알 수 없는 타입을 플랫폼 타입이라고 부른다.
-
플랫폼 타입을 사용하는 코드는 해당 부분만 위험한 것이 아니라, 이를 활용하는 곳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코드이다.
-
따라서 이런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빨리 해당 코드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
또한 연결되어 있는 자바 생성자, 메서드, 필드에 nullable 여부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자.
추가
이 부분 코드가 책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다.
val users: List<User> = UserRepo().users
val users: List<List<User>> = UserRepo().groupedUsers
책의 코드에서는 타입을 지정했는데, 이는 플랫폼 타입이 사용되는 예제로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자체적으로 코드를 수정하였다. (물론 위 코드와 같이 명시적으로 NotNull 타입을 지정한 경우에도 null 체크를 하지 않아도 된다.)